큰 틈과 얇은 칼날
백정인 포정庖丁이 문혜군文惠君을 위해 소를 잡았다. 포정이 소뿔을 잡았다. 어깨를 비스듬히 기울여 한 발을 딛고 무릎을 굽혀 소를 눌렀다. 이내 칼이 가죽과 뼈를 발라내는 소리가 휙 획 났다. 춤추듯 칼을 움직이니 쇅 쇅 막힘이 없었다. 탕왕이 기우제를 지낼 때 연주되었던 '상림'의 곡조와 어울려 춤추는 듯 했고, 요임금 때의 음악인 '경수'의 박자에 맞춰 칼질을 하는 듯했다. 전혀 힘들이지 않았다.
문혜군이 감탄하며 포정에게 물었다. "허허, 참으로 훌륭하구나. 어찌 이런 지극한 재주를 가졌느냐?"
포정이 칼을 내려 놓고 대답했다. "저도 도를 즐기지요. 그 도를 소 잡는 기술에 응용했을 뿐입니다. 제가 처음 소를 잡기 시작했을 때는 소 속에 있는 흐름과 틈이 보이지 않았습니다. 삼 년이 지나자 소 내부의 모습이 완전하게 보였습니다. 현재는 소를 마음으로 만나고 눈으로 보지 않습니다. 칼질을 할 때는 사물을 보는 눈을 사용하지 않고, 마음이 가는 대로 자연스런 흐름에 따라 칼을 움직입니다.
원래 소 몸에 있는 흐름에 따라 큰 틈을 열어 젖힙니다. 소의 생긴 그대로를 따라 틈 사이의 널찍한 공간에서 칼을 움직이니 뼈 사이의 살이나 힘줄이 칼질에 방해가 될 수 없습니다. 하물며 큰 뼈가 어찌 칼질에 방해가 되겠습니까!
훌륭한 칼잡이이지만 해마다 칼을 바꾸는 이유는 소의 틈을 보지 못하고 살을 직접 가르기 때문이고, 보통의 칼잡이들이 달마다 칼을 바꾸는 건 뼈를 쳐 칼날이 망가지기 때문입니다. 제 칼은 19년 동안 수천 마리의 소를 잡았지요. 그렇지만 숫돌에서 막 갈은 듯 반짝입니다. 소 뼈 사이에는 원래 큰 틈이 있고 제 칼은 아주 얇고 예리하지요. 얇은 칼날이 큰 틈에 들어가니 텅 빈 곳에서 칼을 마음대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이지요. 이래서 제 칼은 숫돌에서 막 갈은 듯합니다.
하지만 소의 뼈와 살이 엉킨 곳을 만날 때는 칼질이 어렵습니다. 이럴 때는 조심조심 경계하면서 엉킨 곳에 오로지 집중하고 신중하게 움직입니다. 아주 세심하게 칼질을 하다 보면 뼈와 살이 스르르 흔적 없이 갈라집니다. 이렇게 일을 마치면 칼을 들고 일어서 사방을 둘러보고 잠시 머뭇거리면서 소에 몰입했던 마음을 추스릅니다. 제정신이 돌아오면 칼을 닦아 챙깁니다."
문혜군이 말했다. "참으로 훌륭하구나. 내가 오늘 포정에게서 삶을 기르는 양생이 무엇인지를 알았느니라."
* 서로를 기르는 양생의 방법은 간단하다. 타자의 자연스런 흐름에서 큰 틈을 보라. 나의 칼날을 최대한 얇게 하라. 얇은 칼날이 큰 틈에서 노니, 부딛치지 않고 다치지 않는다. 텅 빈 틈을 발견하는 데는 시간이 필요하다. 눈이 아닌 마음으로 흐름을 볼 수 있고, 두터운 나를 얇게 하는 세월이다. 빈틈없는 타자에게 두터운 칼날을 들이대는 성급한 만남은 서로를 해칠 뿐이다. 그도 아프고 내 칼도 부러진다.
* '장자의 이야기'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편자 걸어두면 부자 된다. (0) | 2016.01.05 |
---|---|
삼재(三災)란? (0) | 2015.12.31 |
冬至佛供(동지불공) (0) | 2015.12.22 |
이애란 백세인생 가사 (0) | 2015.12.15 |
포악한 자를 가르치는 방법 (0) | 2015.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