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동짓날 절에 가서 공양물로 팥죽을 올리고 새해의 발원(發願)을 다짐하는 의례. 동지(冬至)는 일년 중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길다. 하지(夏至)부터 짧아진 해가 동지를 기점으로 하여 다시 길어지기 시작하는데, 이를 옛 사람들은 태양이 재생되는 것으로 여겼다. 그래서 동지는 시작, 재생, 부활의 종교적 상징성을 띄게 되었다. 불교에서는 민간신앙과 습속을 수용하여 불공의례가 행해진다. 민간에서 동짓날 먹는 팥죽을 공양물로 올리고 새해의 발원을 다짐하는데, 동지불공은 그 성격상 액(厄)을 소멸하고 새해의 길운(吉運)을 추구하는 기원적 요소가 강하다.
내용
동지는 입춘(立春)으로부터 일년 24절기의 스물두 번째 절후다. 동지는 낮이 하지로부터 차츰 짧아지기 시작하여 극에 이르렀다가 다시 길어지기 시작하는 날로 죽음과 재생이라는 종교적 모티브를 지녔기 때문에 많은 민족의 신앙적 습속을 이루고 있다.
중국의 『역경(易經)』에서도 태양의 시작을 동지로 보았으며, 주(周)나라에서는 11월을 정월로 삼고 동지를 설로 정하였다. 지금도 민간에서는 동지를 ‘작은설’이라는 의미로 아세(亞歲)라 하여 어느 집이나 팥죽을 쑤어먹으며 경사스러운 날로 여겨 속절(俗節)로 삼고 있다.
신라와 고려에서는 동지를 전후하여 팔관회(八關會)를 지냈는데, 이를 중동팔관회(仲冬八關會)라고 한다. 불교는 24절기의 하나인 동지를 불공의례로 수용하면서 민간신앙의 요소도 흡수하게 되었다. 사찰에서도 동지불공을 할 때 팥죽을 쑤어 불전에 공양하고 그것을 함께 나누어 먹는다. 불공으로 올린 팥죽은 의례에 의하여 성화(聖化)되고 염력(念力)이 깃들었다고 이해되기 때문에 그것을 절에서 먹을 뿐만 아니라 불공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갈 때 얻어가 가족과 이웃에게 나누어 먹이면서 새해의 건강과 안녕을 기원하는 것이다.
불공의례는 헌공(獻供), 정례(頂禮), 참회(懺悔), 발원(發願), 회향(回向), 시식(施食)의 순으로 진행되는데, 특히 동지불공에서는 지난해의 잘못을 참회하고 새해의 희망을 발원하는 송구영신(送舊迎新)의 의미가 강조된다. 따라서 불공의례로 성화된 동지팥죽을 함께 나누어 먹으며, 지난해의 액(厄)으로부터 벗어난다는 의미로 몸에 착용했던 헌 옷가지를 불에 태우는 소대의식(燒臺儀式)도 행한다. 신도들은 동지불공에 참여하여 기도정근을 하면서 새해의 삶을 신앙심으로 다짐하는 것이다.
韓國民俗大觀3, 1981
안길모. 불교와 세시풍속, 1993
종름 원저, 상기숙 역저. 형초세시기. 집문당, 1996
東國歲時記, 三國遺事, 易經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재(三災)란? (0) | 2015.12.31 |
---|---|
큰 틈과 얇은 칼날 (0) | 2015.12.24 |
이애란 백세인생 가사 (0) | 2015.12.15 |
포악한 자를 가르치는 방법 (0) | 2015.11.24 |
아프냐 ? 나도 아프다. (0) | 2015.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