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이혼 사업은 승진은 시험은 집 매매는건강 자식은? 자세히보기

명리학

사망이유

동영 도안 2013. 4. 12. 15:04
반응형

사망의 이유, 군신불화.왕자노발
    乾命 

    

    

       

       

 

본문에서 午月戊土

壬水편재와 甲木칠살을 위주로 쓰고,

丙火편인과 辛金상관은 팔자의 구조를 참조하여 적절하게 사용하라 하였다.

 

먼저, 壬水를 쓸 수 있을 지를 살펴 보자.

언뜻, 壬水는 팔자의 강한 午火 기운을 억누를 수 있으니 적당한 용신으로 볼 수도 있겠다.

그러나, 본 사주와 같이 의 기운이 너무 강할 때는 오히려 를 쓰게 되면

왕자노발(旺者怒發)이 되어 자연스런 용신법이 되지 못한다.

 

다음으로 甲木을 쓰는 것은

팔자의 편고(偏枯)함을 더욱 부추기고,

관인상생(官印相生)으로 왕성한 戊土를 더 왕성하게 하니 적당치 않다.

 

또한, 壬水편재와 甲木칠살을 쓸 수 없음은 군신관계를 통해서도 확인해 볼 수 있다.  

戊午가 팔자에 세 개가 있으니 신()인 일간은 아주 강하다.

이에 반해 일간인 나를 극하는 군()인 의 상황은,  

군을 도와주는 일점 가 없는 중

바닥에 寅午戌 인수국을 이뤄 아주 쇠약하다.

소위 신성군쇠(臣盛君衰)의 상황이다. 

일반적인 용신법으로 왕자극설(
旺者剋洩)의 원칙을 생각할 수 있으나,

극하는 관살을 쓸 경우는  

신성군쇠(臣盛君衰)는 신불가과(臣不可過)의 원칙으로 오히려 좋지 않고,

간접적인 설기자(洩氣者)인 재성은

약한 을 부추겨 강한 에 대항하게 하니 좋지 않다.

그러므로, 이 사주의 용신은 오로지 강한 일간을 설기하는 식상만 쓸 수 있는 사주가 된다.

 

운세 흐름을 보면,

申酉戌 서방 운에는 용신의 운으로 강한 신의 기운을 순순하게 설기하여 공명이 높은 시기를 지낸다.

운인 甲子운은 약한 신을 부추기는 운으로 

군신간에 불화하게 만들면서, 왕성한 午火를 충해 왕자노발(旺者怒發)이 되어 사망하게 된다.
 

[주]

(1) 팔자를 볼 때 군신관계는 위와 같이 보는 것 외에 다음과 같은 다른 시각이 있다.

① 태세가 군, 일간이 신 :

세상일간 유화필경, 일범세군 재앙필중

(歲傷日干 有禍必輕, 日犯歲君 災殃必重)의 개념은 관념의 군이라 한다.
 

② 관살이 군, 일간이 신 :

일반적인 군의 개념으로 작용지군(作用之君), 사실지군(事實之君)이 된다.

일간은 군, 재성은 신으로 보는 것도 동일한 개념이다.    

 

(2) 본 예와 같은 사주인 삼기성상(三氣成象)은 삼신성상(三神成象)도 동일한 용어로,

팔자에 세 가지 기운이 상생을 이루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예로, 목화토(木火土) 화토금(火土金) 토금수(土金水) 금수목(金水木) 수목화(水木火) 등으로 이루어진 경우이다.
운에 따라 길흉이 달라지므로 운세의 자세한 관찰이 필요한 경우이다

반응형

'명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하면 손실보는 시기  (0) 2013.04.15
귀인법  (0) 2013.04.13
밤의 여인  (0) 2013.04.11
귀격사주  (0) 2013.04.10
돈을 모을수 없는 팔자  (0) 2013.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