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 5 章 四課 三傳 組織法
六壬神으로 人事全般을 占斷하는데에는 아래 3項目으로 基礎的 基盤을 만든다.
1. 占時와 月將에 의하여 天地盤을 만든다.
2. 占日時의 干支를 基礎로 四課를 만든다.
3. 四課의 生剋 및 기타에 의하여 三傳을 정한다.
이것을 解說하기에 앞서 六壬이라는 名稱의 뜻을 理解하는 것이 優先이라고 생각한다.
天干의 10字中 壬字를 使用한 理由는 壬이 陽水이고 陰陽學으로는 天一水를 生하고 1은 水의 시작이며 亥字가 乾으로 易의 시작이고 亥中에는 壬水가 藏干되어 있고 12月 中氣인 冬至도 壬에서 비롯된 때문에 壬字를 使用한 것이다.
道는 1을 生하고 1은 2를 生하며 2는 3을 生하여 3이 萬物을 生하는데, 壬字는 3으로써 三에 아래 위를 뚫으면 王자가 되고 壬도 같이 가운데를 뚫고 있음이 天地人에 通한다는 뜻이 있다.
王은 天地人에서 1人을 말하고 壬은 天地人 三才를 말하여 吉凶禍福을 豫見할 수 있는 것으로, 天一은 水를 生하고 天五는 土를 生하기에 水는 萬物의 血脈이고 土는 萬物의 根源이기 때문에 水와 土는 함께 長生이라 水1과 土5를 合하여 6이 되어 六壬이라는 이름이 만들어 진 것이다.
1. 六壬課式 測定器 解說
오른쪽 그림에서 地盤①은 占時이고, 月將의 天盤②를 地盤①의 占時와 맞추면 天地盤이 된다.
中央의 十干에 天地盤의 오늘日支와 맞추면 10日間의 干支, 空亡과 藏干까지 알 수가 있게 된다.
地盤①의 작은 赤色글자는 陽貴神을 表示한 것이며, 작은 黑色글자는 陰貴神을 表示한 것이며, 旬中空亡을 알기 쉽도록 ③으로 表示한 것이며, 十二貴神을 나타내는 ④의 天干은 黑色글자로 表示되어 있으므로 占經日과의 貴神이 順行時는 赤色 글자를 使用하고 逆行時는 黑色 글자를 使用한다.
2. 六壬占時法
六壬은 占時를 가장 重要時한다. 正斷을 하려는 사람이 왔을때의 時刻을 使用하는데 同一時刻에 다른일로 觀占을 하고 있다면 새로 時刻을 定하여야 하는데 그 方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子에서 亥까지 記入한 12個의 산대를 桶 속에 넣고 精神을 集中한 後, 한 개를 빼내 이것을 時刻地支로 定한다. (圓形으로 된 物體에 12支를 各各 記入하여 눈을 감고 돌리면서 精神을 集中하여 잡히는 地支를 時刻地支로 定하는 方法도 있다.)
이런 方法을 適用한 時刻은 卽時, 四課 三傳을 造式하여 正斷하면 틀림없이 神의 效驗을 얻게 된다.
그러나 이 方法을 주저하거나 遲延하면 時刻의 精靈이 가리워져서 맞지 않게 된다. 占時는 地盤의 子부터 亥까지 一定하게 움직이지 않고 月將을 時刻의 地支와 맞추면서 수시로 흘러가므로 六壬課式測定器를 使用하여 天地盤을 構成하여야 한다.
六壬神의 課는 太陽이 그 달(月) 支合의 地支 즉, 12宮中의 星座地支를 月將이라 이름붙이고 時刻地支에 맞춘다.
太陽인 月將을 天盤으로 하고 時刻의 地支를 地盤으로 하며 그 날의 干支를 基準으로 四課 三傳을 만든다. 여기에 諸星諸神의 吉凶. 禍福. 成敗를 神에게 물어서 占을 치는 神術인고로 時刻地支에 太陽宮의 地支를 항상 함께 생각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여야 한다.
이 方法을 活用하면 占斷하는 時刻이 아니라도 時刻의 地支를 만들어 活用할 수가 있으며, 앞에 기술한 方法 외에 다음의 方法들도 있으니 參考하기 바란다.
(1) 口頭報時法 - 이것은 占斷을 求하려는 사람에게 時刻을 자유로이 말하게 하고 그 時刻을 地支로 定하는 方法이다.
(2) 盒器法 - 圓形直徑 6寸에 높이 3寸의 盒器를 製作하여 中央에 太極 文字를 彫刻하고 그 周圍에 12地支 正盤과 같이 12구멍을 파서 12時刻에 應用하는 方法이다. 이것은 붉은 珊瑚구슬을 오른손에 쥐고 왼쪽으로 굴려서 그 구슬이 떨어진 地支를 占時로 定하는 것이며 구슬을 굴릴 때는 마음으로 太陽을 向해 神의 效驗이 있기를 念願 하면서 구슬을 굴려야 한다.
(3) 次客法 - 가장 簡便한 方法으로 壬學은 그 날의 干支를 基本으로하여 占時에 月將을 맞추는 것으로 同一時刻에 2人이상 占斷을 求하고자 할 때는 課體課式이 同一하므로 次客法을 使用하는데 占斷하러 먼저 온 사람의 時刻이나 선택時刻에 따라 占時陰陽이 陽支면 四位順行한 支神을 나중 온 사람의 占時로 定하고 陰支면 逆으로 六位逆順의 地支로 占時를 定하여 課式을 定하는 方法이다.
例로써 먼저 온 사람의 占時가 午時라면 順行 四位 즉, 午未申酉로 네 번째인 酉時가 다음 사람의 占時가 되고, 먼저 온 사람의 占時가 未라면 逆行六位 즉, 未午巳辰卯寅의 逆으로 여섯 번째 寅時를 다음 사람의 占時로 定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時刻이 바뀌어 옮겨진 時刻으로 課式을 正斷하는 本 次客法은 몇 사람이 同時에 占斷을 求해도 本 法則에 準하여 占時 支神을 定할 수 있는 簡便한 方法이다.
(4) 地盤 - 地盤은 오른쪽 圖表와 같이 地支가 不變位置에 固定되어 있으며 占斷의 行年. 太歲. 月建 등을 代入하여 定하는 方法이며, 例로 本年의 太歲支 未. 月建 申(7月). 年命 子. 行年 辰. 占時 午로 하였을 때 表의 該當 地支에 表와 같이 記錄을 하면 地盤을 알 수가 있으므로, 六壬課式 測定器로 月將을 占時에 맞추어 天地盤을 만드는 것이다.
巳 |
時 刻 午 |
太 歲 未 |
月 建 申 |
行 年 辰 |
|
酉 | |
卯 |
戌 | ||
寅 |
丑 |
年 命 子 |
亥 |
(5) 月將의 解說 - 壬學에서 月將은 太陽宮이고 太陽은 諸星의 主로써 우리들의 生命이 있는 것이 太陽의 餘德에 依한 것이므로 天地間의 神이며 太陽의 動靜(동정)은 吉凶禍福의 시작이 되게 하는 福德의 神으로써 太陽이 地球에 넓게 빛을 비추게 되는 每月 中氣에 太陽宮을 지나가는데 天의 12宮과 支合하는 것을 月將地支라 하며 아래表와 같다.
月建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子 |
丑 | |
節氣 |
立春 |
驚蟄 |
淸明 |
立夏 |
亡種 |
小暑 |
立秋 |
白露 |
寒露 |
立冬 |
大雪 |
小寒 | |
中氣 |
雨水 |
春分 |
穀雨 |
小滿 |
夏至 |
大暑 |
處暑 |
秋分 |
霜降 |
小雪 |
冬至 |
大寒 | |
月將 |
亥 |
戌 |
酉 |
申 |
未 |
午 |
巳 |
辰 |
卯 |
寅 |
丑 |
子 | |
生成數 |
6 |
4 |
9 |
4 |
7 |
2 |
7 |
3 |
8 |
3 |
6 |
2 | |
五行 |
木 |
火 |
金 |
水 |
|
|
水 |
金 |
火 |
木 |
土 |
土 | |
04년 |
節氣 |
2/4 |
3/5 |
4/4 |
5/5 |
6/5 |
7/7 |
8/7 |
9/7 |
10/8 |
11/7 |
12/7 |
1/5 |
月將 |
2/10 |
3/9 |
4/13 |
5/9 |
6/12 |
7/9 |
8/14 |
9/10 |
10/16 |
11/10 |
12/13 |
1/7 | |
05년 |
節氣 |
2/4 |
3/5 |
4/5 |
5/5 |
6/5 |
7/7 |
8/7 |
9/7 |
10/8 |
11/7 |
12/7 |
1/5 |
月將 |
2/10 |
3/9 |
4/14 |
5/9 |
6/12 |
7/9 |
8/14 |
9/10 |
10/16 |
11/10 |
12/13 |
1/7 |
天地盤을 構成한 後, 四課 三傳을 造式하는데 中氣를 지나 月將을 使用하는 理由는 太陽을 中心으로 四季節의 氣候變化를 測定하기 때문에 中氣宮에서 月將의 神이 바뀌는 것이며, 月將이란 太陽星의 宮을 地支로 定한 것이고 그 期間은 30日 程度된다. 그리고 月將은 어느 月日時刻부터 어느 月日時刻까지를 使用하는가 하는 것을 適用시켜 보면, 寅月의 入節인 立春이 陽曆 2月 4日이므로 寅月의 月將인 亥의 生成數 6을 立春日 4日에 보태면 10日이 되고 月將의 시작은 2月 10日 亥時부터 다음 달의 月將 使用時刻 前까지를 使用하는 것이다.
앞의 表에 1999年과 2000年의 月將日을 表記하였으니 參考를 한다.
3. 天地盤測 製作法
申
巳 |
月將酉 時刻 午 |
戌
未 |
亥
申 |
未
辰 |
時刻 午 月將 酉 天地盤圖 |
子
酉 | |
午
卯 |
丑
戌 | ||
巳
寅 |
辰
丑 |
卯
子 |
寅
亥 |
天地盤 製作法은 앞에서 說明한 바와 같이 例로 午時刻 酉月將인 것을 地盤에 依하여 占斷할 時刻의 支를 求해 이 時刻地支에 該當 月將을 맞추어 順次的으로 適用해 간다.
다른 地盤의 구성도 같은 방법으로 하면 된다.
이 외에 중기추산법이라는 것도 있다.
4. 月將將名의 解說
月將은 月支에 六合하는 天神으로 제각기 該當 將名을 가지고 있으며 아래와 같다.
太乙 4 巳 |
勝光 9 午 |
小吉 8 未 |
傳送 7 申 |
天강 5 辰 |
|
從魁 6 酉 | |
太충 6 卯 |
河魁 5 戌 | ||
功曹 7 寅 |
大吉 8 丑 |
神后 9 子 |
登明 4 亥 |
(1) 登明(亥)는 寅月의 月將으로 寅은 陽木으로 三陽이 시작되므로 明에 登한다는 뜻으로 登明이고 形體는 얼굴이 길고 色은 淡靑하고 맛은 짜고 數는 4 이다.
(2) 河魁(戌)는 卯月의 月將으로 類聚의 뜻이고 河魁는 土神으로 形體는 匈悍(흉한)하며 色은 黃으로 맛은 달고 數는 5 이다.
(3) 從魁(酉)는 辰月의 月將으로 草木이 나오는 뜻이고 從魁는 金神이고 形體는 端正하고 色은 白色이며 맛은 맵고 數는 6 이다.
(4) 傳送(申)는 巳月의 月將으로 陰을 傳하고 陽을 보낸다는 意味이며 傳送은 金神으로 形體는 목이 짧고 눈은 異常하고 色은 黑色이며 맛은 맵고 數는 7 이다.
(5) 小吉(未)는 午月의 月將으로 萬物이 成長하고 있는 뜻으로 小吉이라 하며 土神으로 形體는 光澤이 있고 色은 黃色이며 맛은 달고 數는 8 이다.
(6) 勝光(午)는 未月의 月將으로 여름의 暴炎이 不息한 象이라 勝光이라 하며 火神이며 形體는 얼굴은 크나 눈이 작고 色은 赤色이며 맛은 쓰고 數는 9 이다.
(7) 太乙(巳)는 申月의 月將으로 萬寶成熟의 뜻으로 太乙이라 이름 붙이고 火神으로 形體는 이마가 튀어나오고 입이 크며 色은 斑點이 있고 맛은 쓰고 數는 4 이다.
(8) 天강(辰)는 酉月의 月將으로 堅剛하고 肅殺의 뜻이 되며 土神으로 形象은 얼굴이 둥글고 수염이 많으며 色은 黃色이고 맛은 달고 數는 5 이다.
(9) 太충(卯)는 戌月의 月將으로 萬物이 충하고 착취하는 集會를 한다는 뜻이며 太충은 神이 아니며 形象은 長身이고 허리는 가늘며 色은 靑色이고 맛은 시고 數는 6 이다.
(10) 功曹(寅)는 亥月의 月將으로 歲功會計의 뜻으로 功曹는 木神이며 形象은 長身으로 얼굴둥글며 色은 碧하고 맛은 시며 數는 7 이다.
(11) 大吉(丑)는 子月의 月將으로 一陽이 비로소 돌아오기 때문에 大吉이라 하며 大吉은 土神이고 形體는 短身이며 용모가 추하고 미우며 色은 靑黃色으로 맛은 달고 數는 8 이다.
(12) 神后(子)는 丑月의 月將으로 百神에 報答하는 뜻으로 神后는 水神이고 形象은 아름답고 예쁘고 아양과 비위를 잘 맞추고 요염하며 色은 黑色으로 맛은 짜고 數는 9 이다.
以上의 作名은 모두 그 달의 月建地支의 뜻을 따라 이름 붙인 것이며 앞으로 將名을 가지고 說明하는 境遇가 많으니 子는 神后 丑은 大吉 寅은 功曹 ...... 등으로 暗記를 하면 도움이 된다.
月將이란 太陽黃道宮의 地支로 月建地支의 合神을 말하며 月建은 地의神이고 月將은 太陽의 神이며, 天體는 逆行하고 地球는 右轉하며 하늘은 左旋을 하기 때문에 黃道宮을 豫知할 수가 있다.
5. 四課 造式法
四課를 造式하는데는 그 날의 干支를 根本으로 한다. 四課란 第1課, 第2課, 第3課, 第4課를 橫으로 配列하고 法則에 따라 그 날의 干支中 天干을 奇宮法이라 稱하고 地支를 變更하는 것이다. 이렇게 第1課에서부터 第4課까지 天地盤을 定하는 것을 照常한다고 한다.
四課構成法은 第1課 地盤을 그 날의 天干에 두고 다음은 그 날의 地支를 第3課의 地盤에 두는 것이다.
例로써 干支는 甲子日이고 月將이 酉에 申時일 때의 四課를 풀어본다.
第1課 甲(寅) 第2課 第3課 子 第4課 |
|
이렇게 第1課에 寅을 記入하고 月將 酉를 時刻에十干奇宮法에 甲은 寅이 奇宮地支이므로 甲 옆에 寅을 記入한다.
그 날의 天干 甲과 奇宮 第3課에는 子를 記入하여 記錄한 天地盤을 만들면 오른쪽과 같은 天地盤이 構成되고 다음 第6章에서 나오는 天地盤 課式早見表에서 찾아보면 第12局이 되는 것을 알 수가 있게 된다.
이것을 자세히 說明하면 위의 天地盤을 照見하여 먼저 奇宮이 寅이므로 天地盤表의 地盤(굵은글자)에서 寅字를 보고 그 寅 위에 있는 地支가 卯이다.
第1課는 이 卯를 第1課의 地盤 甲 위의 天盤에 記入하여 第1課를 만든다.
第1課 卯 甲(寅)
第2課는 第1課 天盤 卯를 地盤으로 놓고 天地盤의 地盤에서 卯를 찾으면 卯 위에 辰이므로 卯 위에 辰을 記入하여 第2課를 만든다.
第2課 辰 卯
第3課는 이미 정해진 地盤인 子의 天盤을 찾으면 丑이므로 子 위에 丑을 記入하여 第3課를 만든다.
第3課 丑 子
第4課는 第3課 천반 축을 아래로 놓고 天地盤의 地盤에서 축字를 찾으면 寅이므로 子 위에 寅을 記入하여 第4課를 만든다.
第4課 寅 子
이렇게 天地盤을 利用한 照常法으로 造成된 第2課와 第4課의 天盤地支를 陰神이라고 알고 있으면 된다.
6. 三傳 構成法
四課의 造成이 되면 三傳을 정하는데 三傳이란 初傳. 中傳. 末傳 셋으로 區分되고, 三傳을 定하는 方法은 四課中에 天盤과 地盤에서 剋剋의 多少와 日干을 對照하여 剋의 有無로 構成하는 것이며, 六壬正斷 本法은 干支를 基礎로 하여 甲子에서 癸亥까지 六十干支를 每日 使用하고 占時의 地支에 月將을 맞추므로 一日 12組가 되고 여기에 60干支가 있으니 모두 720個의 課式이 된다.
三傳을 定하는 方法으로 九法則이 있는데 이것을 일일이 說明하는 것은 쉬운일이 아니므로 三傳을 構成하는 法과 定하는 方法은 後에 說明하기로 하고 이 章에서 省略하고 다음의 第6章에 720課式에 대한 說明과 圖表를 記述하니 四課 三傳을 잘 理解하지 못하는 사람이라도 720課式表를 살펴보면 四課 三傳을 바로 알 수가 있으므로 다음 章의 720課式表를 잘 活用하여 適用하기 바란다
'육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7장 임학의 각 명칭 (0) | 2012.11.19 |
---|---|
제6장 육임신을 공부하기 위해 (0) | 2012.11.17 |
신살법 (0) | 2012.11.14 |
천간 지지의 각종활용법 (0) | 2012.11.14 |
신수 관법 영부법 (0) | 2012.11.14 |